서버/리눅스
-
[리눅스] VMware 네트워크 진단법서버/리눅스 2017. 3. 23. 21:32
가상 머신의 타입 3개 Host-only : 오로지 윈도우만 통신이 가능 외부의 통신이 차단된다. NAT : 가상머신이 윈도우에 하위로 들어감 인터넷은 윈도우의 접속이 가능하지만 다른 가상머신과는 통신이 불가능함. Bridged : 1대 컴퓨터가 더 생성됨 가상머신이 윈도우와는 다른 컴퓨터로 인식이됨 가상머신끼리 통신이 가능함 network 다른 가상머신과의 통신 HOST-ONLY X X NAT O X BRIDGED O O #CentOS VMware Network 타입 변경하기 @ 네트워크 동작 확인#내부 네트워크 확인-ping 네트워크 타입이 Bridge인 경우에는 window에서 ipconfig로 가능한데NAT일 경우 VMware들어가셔서 게이트웨이를 확인하셔야 합니다. window > ctrl+R ..
-
[리눅스] 기본 정책 ( /etc/login.defs)서버/리눅스 2017. 3. 23. 21:25
vi /etc/login.defs 유저 생성시 사용되는 정보 #1 메일함 저장#2 패스워드 기본설정#3 uid, gid .. id의 범위#4 home디렉터리 생성여부#5 사용자 홈디렉터리 umask값#6 자동 그룹삭제 여부#7 해쉬 사용방식- sha512방식 사용CentOS5 의 md5는 해쉬정보가 누적되서 부호화된 값의 역추적이 가능해졌다.패스워드 앞의 $6 : sha512 패스워드를 계속 입력해도 해쉬값이 다르게 나오는 이유는리눅스는 해쉬처리될때 패스워드와 발생되는 임의의값이랑 처리되서 복호화됩니다.
-
[리눅스]패스워드 관리/ usermod서버/리눅스 2017. 3. 23. 20:39
@패스워드 관리 계정의 생성되는 기본값은 useradd에서 생성될 떄 정해진다. >> 파일에 들어있음 /etc/default/useraddvi 편집기chageusermod 1. 패스워드 설정 정보 변경 : chage#>chage [option]-l : 계정의 패스워드 정보가 나온다 #>chage -l linux01 >>putty로 사용하시면 한글로 깔끔하게 나옵니다. -m : 패스워드 최소일을 변경-M : 패스워드 최대일을 변경 m(minimun)도 똑같이 사용이 가능하다. -W 패스워드 변경 경고일 변경경고가 시작되는 날짜는 Maximum - Warning = 100 - 10 = 비밀번호 변경후 90일 이후 이다. #> chage -W 10 linux01-I : 비활성화 기간을 설정패스워드 만료일이 끝..
-
[리눅스] root 패스워드 잃어버렸을때 <centOS 7>서버/리눅스 2017. 3. 23. 19:48
@싱글모드(패스워드 변경) CentOS 7 전용입니다.CentOS7 자체가 많이 복잡해졌네요.. #>vi /etc/sysconfig/selinux >> root가 아닌 사용자는 root로 접속해서 passwd 로 변경이 가능하지만 root는 일어나면 직접 서버컴퓨터의 싱글모드로 접속해야합니다. 1 selinux=enforching 상태일떄2 selinux=disabled 상태일때 #1 selinux=enforching 상태일 때 : 안건들였으면 기본상태입니다. 부팅 시 Core로 접속합니다 ro >> rw init=/sysroot/bin/sh로 변경후ctrl + x 로 start해줍니다. 도스명령어가 뜨면 #>export LANG = C#>chroot /sysroot#>passwd root 입력후 패스워..
-
[리눅스] 패스워드 관리 #/etc/shadow #passwd서버/리눅스 2017. 3. 22. 21:15
@패스워드 관리 디렉터리 : /etc/shadow사용자의 패스워드가 들어있다. 콜론을 구분자로 사용하는 문장들이 들어있다. root : $6$FEE~YMS1 : 17240 : 0 : 99999 : 7 : : : 1 2 3 4 5 6 7 8 1) 사용자 이름 2) 패스워드 >> 해쉬처리되서 나온다 (단방향 처리기)3) 패스워드 >> 패스워드 수정일 (기본 Date형식대로 처리된다(1970.01.01 이후 지난날))4) 패스워드 변경 최소일 : 5) 패스워드 변경 최대일 : 이 기간 이후에는 비활성화로 된다.6) 패스워드 변경 경고일 : 변경 최대일에서 경고일을 뺀 기간부터 경고메세지를 보낸다.#> vi /etc/default/useradd 에서 default 값을 변경할 수 있다.7) 비활성화 기간 : 패..
-
[리눅스] 권한서버/리눅스 2017. 3. 21. 20:50
@그룹관리#1 그룹에 사용자 넣기#>usermod -G group jserjb #2 사용자별 그룹 확인 id id 그렇을 그렇게 배웠는데 어따 서먹언 ㅑㅑㅑㅑㅑㅑㅑㅑ @소유권, 권한 0 1 2 3 4 5 6 7 8 0) i-node 값. 1) 파일의 타입- : 일반파일d : 디렉터리 파일l : 링크 파일b,c : 장치파일 2) 권한 설정rw- r-- r--1 2 3 1. 소유자의 권한2. 소유그룹의 권한3. 다른 사용자의 권한 3) 링크파일의 갯수 4) 파일의 소유자: 생성한 유저(기본 설정) 5) 파일의 소유그룹: 기본그룹(기본 설정) 6) 파일의 크기 (touch로 생성시 0byte) 7) 파일의 생성 시각 8) 파일의 이름#######관리자는 모든권한을 가지고 있다. #rwx : 권한 순서[일반파일..
-
[리눅스] 그룹서버/리눅스 2017. 3. 20. 21:19
#그룹 관리 -- /etc/grouproot : x : 0 : 1 2 3 1) 그룹 이름 2) 사용하지 않음 3) GID(Group ID) #그룹 삭제 -- #>groupdel 명령어로 지울때는 사용중인 그룹은 지울 수 없다 그렇다면 vi 편집기로 지워본다. (Alt + G : 맨아래로 이동 dd : 라인삭제) 흠 ... 그럼 뭐가 바꼇을까 .... 일단 홈 디렉터리를 확인해본다 사용자가 생성되면 소유자와 소유그룹이 사용자의 이름으로 되있는데그룹이 사라지면서 1001이라는 GID로 찾아가고 있다 #그룹 추가 -- #>groupadd 그렇다면 위에서 지워진 그룹을 만들어 봅니다. 그룹이 자동으로 생성되면서 1001이라는 test01그룹은 1001 GID를 할당 받았네요 이때 test의 홈디렉터리의 GID가..
-
[리눅스] 사용자 수정, 사용자 삭제서버/리눅스 2017. 3. 20. 20:27
#사용자 수정 #>usermod 어떤것을 수정할지 정해주는게 필 수 이다. [usermod option]-d : 홈디렉터리 변경-c : comment 변경 -d 옵션test01 사용자의 홈디렉터리를 /linux로 옮깁니다 test01로 접속을 한번 해보겠습니다. 옮기고 나서 봤더니 홈디렉터리를 찾을 수 없으며 접속하자마자 최상위 경로에서 떠돌고 있는 test01유저를 볼 수 있었습니다. 이유는 test01의 홈디렉터리를 옮기겠다라고 test01에게 말만 해줬을뿐 실제로 디렉터리를 안옮겼기 때문이예요. /home 에 있는 디렉터리를 옮긴 /linux로 옮겨야 합니다. 옮기는 명령어? #>mv /home/test01 /linux/ 이제 다시 test01로 로그인 해봅니다 이렇게 홈디렉터리도 옮겨줘야 정상적으..